본문 바로가기
IRP

퇴직연금 IRP ETF 투자, 천만원 8월 2주차 투자 현황 및 국내 업종별 ETF 동향 알아보기(누적수익: +998,129원)

by 머니로거 2024. 8. 18.
반응형

직장생활 동반자 퇴직연금 IRP 투자

안녕하세요 다양한 투자와 재테크를 통해서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하는 블로그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입니다. 오늘은 직장생활을 하게 되면서 소득공제와 재테크 목적으로 가입하게 된 퇴직연금 IRP 계좌의 24년 8월 2주 차 투자 현황을 리뷰해 보려고 합니다. 아울러 8월 3주 차 투자를 준비하기 위해 퇴직연금 IRP 투자비중의 일부를 담고 있는 국내 업종별 ETF 동향 또한 살펴보며 과매수 업종과 과매도 업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본 글은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로 투자권유나 종목 추천 글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4년 8월 2주 차 IRP 계좌 현황

누적성과: 998,129원

8월 2주 차 IRP 계좌의 투자 현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입금금액: 10,400,000원
- 평가금액: 11,398,129원
- 누적수익: +998,129원
- 수익률: +9.60%
- 8월 1주 차 대비 자산변화: +188,372원

8월 초 시장의 큰 하락 이후 현재 반등이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이며 그로 인해 1주 차 대비 전체 자산은 약 2% 정도 상승을 했습니다. 현재 IRP ETF를 구성하고 있는 자산별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 ETF 투자: 37.27%
  • 채권: 35.30%
  • 현금성자산: 27.43%

국내 국고채와 현금성 자산이 62.73%를 투자 중이며 ETF에 투자 중인 비중은 37.27%입니다. 현금성 자산 및 국고채에 60% 이상 비중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기본 IRP 필수 예금투자한도 30% 이외에도 미국 기준금리가 9월 중 인하를 시작할 예정이기 때문에 금리 인하 시 유리한 국채 투자 비중을 37% 정도 확보했기 때문입니다.

IRP 포트폴리오 예상 연간 배당금

예상연간 배당금: 75,618원

현재 약 4,239,230원 정도 금액이 투자 중인 ETF 투자를 통한 연간 예상 배당금은 75,618원입니다.

IRP ETF 투자현황

IRP 계좌로 입금되는 배당금 중 98%는 월배당형식으로 지급되고 있습니다. 매달 6~7천 원 정도 배당금이 지급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배당금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를 통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해당 ETF는 한국형 SCHD ETF로 불리며 미국 우량 배당주 기업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한국 12개 분야 업종별 시장동향

RSI 지표로 확인하는 과매수, 과매도 산업

24년 8월 2주 차의 업종별 시장동향을 RSI 지표 기준으로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업종별 RSI 지표현황

먼저 과매수 구간에 진입해 과열된 주가 양상을 보이고 있는 업종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과매수 업종을 분류한 기준은 월봉상 RSI 지표가 60 이상을 넘은 분야와 없다면 가장 근접한 업종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해당 업종들은 당분간 신규 투자는 지양하고 있으며 투자를 하고 있다면 포트폴리오에서 비중을 줄이고 있습니다.

  1. KODEX 은행 ETF
  2. KODEX 헬스케어 ETF
  3. KODEX 반도에 ETF

다음으로 과매도 구간에 진입한 업종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과매도 업종을 분류한 기준은 월봉상 RSI지표가 30 미만이거나 가장 근접한 산업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해당 업종들은 시장에서 과매도되었기 때문에 자산의 가격이 평균 이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미래 성장 가능성만 유지된다면 추후 주가상승을 통한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분야로 무리하지 않고 소액으로 꾸준히 모아가는 업종별 ETF입니다.

  1. KODEX 에너지화학 ETF
  2. KODEX 2차전지산업 ETF
  3. TIGER 소프트웨어 ETF

경기침체를 대비한 IRP 투자

미국 경기침체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이슈로 크게 하락한 시장은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 완전히 모든 이슈들이 해소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보수적인 투자를 유지 중입니다. 따라서 국채와 현금성자산을 60% 이상 유지하면서 과매도 산업 중 미래 성장성이 유지된 산업 중심 투자와 미국 배당 우량주 중심의 투자를 당분간 지속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