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RP

직장인 재테크, 퇴직연금 IRP 24년 8월 마지막주 투자현황+국내 업종별 주식시장 동향 비교(누적수익, +1,056,642원)

by 머니로거 2024. 8. 30.
반응형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다양한 재테크 및 투자 수단을 탐구하며 최종적으로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하는 블로그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입니다. 직장인들이라면 누구나 만들어 투자하면 좋은 퇴직연금 IRP ETF에 대한 투자 현황과 국내 업종별 주식시장 동향 비교를 매주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언젠가 모두 퇴직한다는 가정하에 퇴직연금 IRP는 퇴직 후 현금흐름을 책임져 주는 만큼 중요한 요소이며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러한 IRP를 통한 투자 현황과 아이디어 국내 업종별 주식시장 현황을 매주 공유 중에 있으니 글 내용에 관심이 있다면 공감과 댓글 그리고 블로그 구독 부탁드립니다.
본 글은 개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생각을 작성한 글로 투자권유나 종목추천 글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습니다.


24년 8월 4주 차 투자 현황

누적성과: 1,056,642원

8월 3주 차 잭슨홀 미팅에서 연준(FED) 의장의 연설을 통해 물가상승률에 대한 자신감을 볼 수 있었고 그로 인해 9월 금리인하 시작을 시사하는 멘트를 발표했습니다. 최근 증가 중인 실업률과 악화되는 일부 경기지표가 고려할 사항이긴 하지만 현재까지 시장은 무난하게 흘러가는 중입니다. 8월 4주 차 가을이 성큼 다가온 마지막주의 IRP ETF 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입금금액:10,600,000 원
- 평가금액: 11,656,642 원
- 누적수익: 1,056,624원
- 수익률: 9.97%
- 8월 3주 차 대비 자산 변화: +35,569원

추가로 하락했던 2차 전지 산업이 많이 회복하면서 누적수익은 다시 백만 원 대를 유지 중이며 8월 3주 차 대비 자산은 소폭 증가했습니다.
IRP ETF에서 투자 중인 자산군은 현금성자산(예금), 국채, 주식(ETF)으로 나눌 수 있으며 8월 4주 차 항목별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 현금성자산: 27%
  • 주식(ETF): 39%
  • 국채: 34%

IRP 계좌에서 ETF에 대해 투자 가능한 비중은 최대 70%이지만 현재 39% 수준을 유지 중인 이유는 미국의 기준금리 정책이 금리인하 시기로 변하는 변곡점에 직면해 있는 동시에 주요 지표가 경기침체로 향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30% 이상의 비중은 금리인하를 대비해 국고채에 투자 중입니다. 지난주 대비 자산 비중의 변동성은 주식(ETF) 비중이 1% 증가하고 국채 투자 비중이 1% 감소했습니다. 현재 부진한 국내 산업 중 하나인 'KODEX 2차 전지산업 ETF'에 적립식 투자를 진행 중이기 때문에 ETF 투자 비중이 일부 증가 중에 있습니다.

반응형

국내 12개 업종별 대표 ETF 동향

가장 과매도 구간에 진입한 에너지화학, 2차 전지산업

IRP ETF 투자 시 과매도 구간에 진입해 평균 거래가격이 저렴한 분야를 참고하기 위해 국내 12개 업종별 ETF의 동향을 살펴보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업종별 RSI 비교분석

업종별 대표 ETF를 일봉, 월봉, 주봉으로 비교한 사항으로 각 지표에 따라 해당 업종이 과매도에 진입했는지 과매수에 진입했는지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 중입니다. 우선 RSI가 30에 가장 가까운 종목을 3개 나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KODEX 에너지화학 ETF
  2. KODEX 2차전지산업 ETF
  3. TIGER 소프트웨어 ETF

현재 30대에 근접한 종목은 12개 업종 중에서 KODEX 에너지화학 ETF, KODEX 2차전지산업 ETF 두 개뿐이며 소프트웨어 산업은 나머지 중에서 가장 40에 가까운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반대로 RSI지표가 월봉상 60을 초과하거나 가까운 종목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KODEX 은행 ETF
  2. KODEX 헬스케어 ETF
  3. KODEX 바이오 ETF

해당 산업들은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거나 가까운 산업들로 매수 시 주의하거나 개인적으로 우선 투자 종목에서 제외하고 있는 산업들입니다.
특히 은행산업은 현재 미국 기준금리 정책이 인하 시기로 전환될 가능성이 큰 만큼 이자 감소에 따라 실적이 줄어들 확률이 크고 주가가 조정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투자는 주의 필요합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IRP ETF의 8월 마지막주 투자 현황은 지난주보다 전체 자산이 증가하면서 순조롭게 마무리되었습니다. 전체 투자 비중의 70%를 ETF에 투자할 수 있지만 기준금리 정책 변화 초입과 경제침체 진입 시그널이 보이고 있어 30%대 까지만 ETF를 투자 중입니다. 현재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종목은 가장 과매수 구간에 진입한 종목 중 하나인 KODEX 2차전지산업 ETF입니다. 미국에 투자하는 ETF들은 현재 대부분 과매수 구간에 진입해 있기 때문에 추가 매수를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