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RP

직장인 재테크, 폭풍같은 급락을 지난 IRP ETF 24년 8월 1주차 투자현황: 전체자산 -2.6% 감소(누적수익: +809,757원)

by 머니로거 2024. 8. 10.
반응형

서론: 폭풍을 지난 IRP 계좌

4년 만의 코스피, 코스닥 동시 서킷브레이커 발동

24년 8월 1주 차, 글로벌 경제와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겹치며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급락해 동시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시장 변동성으로 투자 중인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의 전체 자산이 일부 감소가 있었고 수익금 또한 투자이래 최대 감소폭을 보였습니다. 오늘은 시장의 전반적인 동향과 투자 현황을 분석해 보고 어떤 방식으로 투자를 이어나갈지 리뷰해 볼까 합니다.
본 글은 종목추천이나 투자권유글이 아닙니다. 개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생각을 정리한 글로 투자에 대한 결정과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습니다.


8월 1주차 IRP 투자현황

누적성과: +809,757

24년 8월 1주 차의 IRP 포트폴리오 투자 성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 총 입금액: 10,400,000원
- 총 평가금액: 11,209,757원
- 누적수익: +809,757원
- 누적 수익률: +7.79%
- 7월 마지막주 대비 누적수익: -303,549원

시장의 큰 하락에도 전체 누적수익은 유지 중이지만 전체 누적수익의 27%가 감소하는 큰 충격이 있었습니다. 계좌의 전체 자산은 -2.6% 감소했고 누적 수익은 약 30만 원 감소해 역대 최악의 하락을 보내고 있습니다. 큰 하락에도 총 평가금액은 나름 방어를 잘했다고 개인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입금금액대비 누적수익도 아직 80만 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자산배분을 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모든 자산을 ETF에 투자하지 않았고 60% 이상을 예금과 국고채에 투자한 것과 ETF 투자 비중 또한 미국과 국내로 나누어 투자했기 때문에 피해를 그나마 최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8월 1주차 IRP 포트폴리오 예상 연간 배당금

연간 총 예상 배당금: 75,618원

급락한 주가 및 수익에 대비해 배당금은 지난주와 동일 수준을 유지하며 평온한 모습을 유지 중입니다.

오히려 지난주 75,150원 예상되었으나 500원 증가해 금주 집계되는 연간 예상 배당금은 75,618원입니다. 배당금의 비중은 여전히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가 높은 비율로 유지 중입니다.

8월 1주차 시장상황분석: 미국경기침체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의 여파

이번주 하랄은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와 일본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인한 자본 이탈이 국내외 주식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특히 4년 만에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동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은 시장의 긴장감과 불안감을 여실히 드러내는 신호입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미국 경기침체 우려: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하락하며 불확실성을 만들었고 글로벌 자본 흐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이머징 신흥 시장에 대한 자금회수 및 위축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엔캐리 트레이드는 낮은 엔화 금리로 자금을 조달해 고수익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으로 일본이 오랜 기간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며 유효한 투자 방식이었으나 최근 금리를 연속적으로 인상하면서 엔 달러 환율이 축소되었고 일부 자금이 청산되면서 국내 시장에도 자금 유출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반응형

한국 12개 산업 시장동향

RSI로 지표로 확인하는 과매수, 과매도 산업

큰 하락에 일부 자산에 일부 자산의 과매수, 과매도 위치에 변동이 있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정리된 사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과매수, 과매도 산업은 매주 어떤 자산을 사고팔지 기준으로 삼는 지표로 분석 중입니다.

한국 12개 산업 8월 1주차 RSI 비교

가장 과매도된 한국 산업: KODEX 에너지화학 ETF

가장 과매도 산업을 굳건히 유지 중이던 'KODEX 2차전지산업 ETF'는 물로 과매도 위치를 여전히 유지 중이지만 1포인트 차이로 KODEX 에너지화학 ETF에게 자리를 내어주었습니다. 2차 전지 산업이 미리 큰 하락을 했기 때문에 에너지화학 산업의 하락이 두드러졌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장 과매수된 한국 산업: KODEX 은행 ETF

가장 과매수된 산업은 'KODEX 은행 ETF'로 큰 하락에도 위치는 변동 업지만 은행을 뒤 따르던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은 이번 하락의 영향으로 과매수 산업 대열에서 이탈했고 오히려 헬스케어 산업이 은행을 뒤따르는 과매수 산업으로 진입했습니다.


결론: 불확실성 속에서 방어적 투자를 유지

이번 주의 급격한 시장 변동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충격을 주었으나 방어적 포트폴리오 구성과 배당중심의 투자 전략을 유지해 배당 수익은 꾸준히 유지하며 피해를 최소화하는 투자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특히 주식에 투자하는 ETF 비중보다 예금과 국채에 투자하는 비중을 크게 가져가는 전략은 아직 시장의 변동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유지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