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izer Inc
PFE
화이자 (Pfizer Inc.)는 글로벌 제약 및 생명과학 기업으로, 다양한 의약품 및 백신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기업이다. 혁신적인 의약품과 백신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고 최근 코로나 이슈 때 백신으로 많이 알려진 회사이다.
백신 외 주요 알려진 제품으로는 아래와 같다.
치료제품: Eliquis, Nurtec ODT/Vydura, Premarin 제품군, Prevnar 제품군, Nimenrix, FSME/IMMUN-TicoVac, Trumenba, Comirnaty, Paxlovid
특수 치료 제품: Xeljanz, Enbrel(미국 및 캐나다 이외 지역), Inflectra, Eucrisa/Staquis, Cibinqo, Vyndaqel 제품군, Oxbryta, BeneFIX, Genotropin, Sulperazon, Medrol, Zavicefta, Zithromax, Vfend, Panzyga
항암 제품: Ibrance, Xtandi, Inlyta, Retacrit, Lorbrena, Braftovi
출처) 네이버 금융
화이자(Pfizer Inc, PFE)의 간략한 기업정보는 아래와 같다.
- 회사명: Pfizer Inc
- 티커: PFE
- 거래소: 뉴욕 거래소
- 상장일: 1994-01-17
- 시가총액: 215조 4,809억 원
- 상위주주: 1. Vanguard (8,9%), 2. BlackRock(5.1%), 3. State Street Global Advisors(5.01%)
- 배당금: 3월, 6월, 9월, 12월 / 주당 0.41 달러 지급(23년 기준)
종목분석
Pfizer Inc(PFE) 주요 지표 분석
화이자(Pfizer Inc, PFE)의 주요 지표분석을 Yahoo Finance를 통해 간략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기업가치, Valuation Measures
- 발행주식 시총, Market Cap (intraday): 166.00B
- 기업의 가치(인수시 지불하는 가격지표), Enterprise Value: 185.42B
현재 시총이 기업의 가치보다 낮음으로 시장가격은 저평가 국면에 들어감을 알 수 있다.
Market Cap(166.00B) < EnterPrise Value(185.42B)
- 주가수익비율(최근 12개월 기준), Trailing P/E: 16.07
- 예상주가수익비율(향후 12개월 예상), Forward P/E: 13.07
Trailing P/E > Forward P/E = 향후 실적 증가 가능성이 있다.
지난 주가수익비율은 고정값이고 예상 주가수익비율은 예상치다 모수는 동일하기 때문에 예상 실적이 증가하면 결과는 줄어든다.
2. 수익률, Profitability+Management Effectiveness+Income Statement
- 당기순이익률, Profit Margin: 15.29%
- 영업이익률, Operating Margin (ttm): -62.32%
- 총 자산 이익률, Return on Assets (ttm): 2.39%
- 자기자본 이익률, Return on Equity (ttm): 11.06%
당기 순익은 15%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62.32%로 절반이상 감소했다. ROE는 10% 이상을 기키며 반토막난 매출에도 기본은 한 상황이다.
3. 손익, Income Statement
- 매출, Revenue (ttm): 68.54B
- 매출(작년 동기 대비 매출), Quarterly Revenue Growth (yoy): -41.60%
- 작년 동기 대비 당기순익, Quarterly Earnings Growth (yoy): N/A
- 주당순익(12개월), Diluted EPS (ttm): 1.83
매출이 안 좋기 때문에 작년 동기 대비 매출 또한 -40% 이상 감소했고 당연하겠지만 작년 동기대비 당기순익은 없다.
4. 재무상태, Balance Sheet
- 자본대비 부채비율, Total Debt/Equity (mrq): 65.98%
- 현금비중, Current Ratio (mrq): 2.38
매출악화 속에도 부채비율은 100% 미만을 유지하고 있고 현금비중은 1일 때 자본과 부채가 동일하다고 볼 때, 2.38로 준수한 변을 보이고 있다. 참고로 삼성의 현재 Current Ratio는 2.8 임
5. 주가상태, Trading informaiton
- 52주 전 가격대비 변동, 52-Week Change: -37.66%
- 52주 전 S&P500 지수대비 변동, S&P500 52-Week Change: 20.00%
- RSI, 월: 7.94% / 주: 36.46% / 일: 67.62%
> 매출이 빠진 만큼 당연히 52전 전 가격대비 -37% 빠졌고 그에 반해 S&P500 지수는 작년 동기대비 20% 상승했다. 월봉에서 RSI가 7.9를 기록할 만큼 대대적인 매도가 있었고 일봉에서 67.6% 나올 만큼 단기간에 사람들이 다시 매수했다.
결론
유래 없는 코로나19 사태가 세계적인 위드코로나 태세로 전환되면서 특수를 누리던 매출이 반토막 난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하지만 매출이 반토막 남에도 ROE는 10 이상을 유지하고 Current Ratio (mrq)가 2.38로 준수한 현금비중을 유지 중이다.
투자의견은 22명 중(Strong Buy:1, Buy:11, Hold:9, Sell: 1) 과반수 이상이 매출을 말하고 있다.
코로나 백신 매출 급감과 개발 중이던 비만약 임상이 중단됨에 큰 하락이 있었지만 본업이 흔들린 상황은 아니라 판단된다.
개인적으로 현재 배당컷이나 배당삭감이 없다면 5% 이상의 배당수익률 기대 가능하다.
따라서 조금씩 사 모으기에는 나쁘지 않은 시기가 아닐까 생각된다.
*본 글은 개인이 경험한 주관적인 내용으로 투자에 대한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글은 별도 대가 없이 정보 전달을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현금흐름 최강 9% 월배당 ETF, JEPI ETF 알아보기(주가, 배당금) (2) | 2024.01.28 |
---|---|
[미국주식] 배당주 ETF 추천, SCHD ETF 배당금 및 주가 알아보기 (0) | 2024.01.19 |
한국에서 미국주식을 해야하는 이유 5가지 (1) | 2024.01.04 |
미국국채 ETF(TLT) 투자정보 (TLT를 매수하는 10가지 이유) (0) | 2024.01.03 |
[미국주식] 미국 국채 직접 투자 방법 및 종목 알아보기(TLT, ZROZ, TMF)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