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세상에서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블로그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입니다.
지난밤 잠깐 반등했던 미국 20년 이상 장기국채 ETF TLT가 지난밤 89달러대 가격으로 다시 하락해 추가 매수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은 추가 매수를 진행하게 된 이유와 현재 TLT의 주가 마지막으로 투자 현황에 대해 리뷰해 볼까 합니다.
본 글은 개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생각에 대한 글로
투자권유나, 종목추천글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TLT ETF 추가매수
금리 인상은 없지만 인하 시점이 문제
최근 미국 20년 이상 장기국채에 투자하는 TLT ETF의 가격이 94달러 까지 반등을 했지만 다시 89달러 까지 하락했습니다. 많은 이유들이 있겠지만 아직 명확하지 않은 연준(FED) 금리인하 시그널에 더불어 미국 대선이 어떤 방향으로 흐르게 될지 명확하지 않아 변동성이 발생하는 사항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불확실한 정보들은 일단 제외한다고 보면 결국 지난 6월 FOMC의 점도표상 금리인상 시그널은 없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장기국채의 가치가 추가로 크게 하락할 큰 리스크는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6월 FOMC 점도표 관련 상세정보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 참조 바랍니다.
[ 6월 FOMC 리뷰 바로가기]
미국 금리 전망, 6월 CPI 그리고 FOMC 확인하기
안녕하세요 다양한 재테크 및 투자에 대해 탐구하고최종적으로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하는 블로그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입니다.오늘은 투자 시 가장 기초가 되는금리 동향을 살피기 위해6월 CP
2mattia.tistory.com
어찌 되었던 장기 국채에 가장 큰 리스크 중 하나인 금리인상은 현재의 고금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비이상적으로 물가가 폭주하는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한 더 이상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어제 90달러를 깨고 내려가는 주가를 확인 후 평단가를 낮추기 위해 추가 매수 진행했습니다.
매수 가격은 90달러와 89달러 각 2주를 추가 매수해서 총 180달러 현금이 사용되었습니다.
TLT ETF 주가현황
24.07.01 기준
TLT ETF의 RSI 지표를 찾아보면 현재 일봉상 45.35포인트, 주봉상 42.26 포인트, 월봉상 41.86포인트 기록 중입니다. 전반적으로 40 초반을 기록 중이며 수치상으로 과매도에 가깝지만 일반적으로 확실하게 과매도에 진입한 시점을 30으로 볼 때 아직 거리가 있어 현재 위치에서 바닥을 다지고 다시 상승할 수도 있지만 추가 하락해 한 번 더 바닥을 다질 수 있는 위치입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주단위로 흐름을 살펴보며 조금씩 적립식으로 추가 매수 중입니다.
TLT ETF에 투자하는 이유
10년 중 가장 낮은 가격
현재 시점에 잘 나가는 나스닥 종목이 아닌 미국 장기 국채 ETF를 매수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역사적인 저점: TLT ETF는 역사적인 금리상승으로 2012년 이후 가장 최저점을 다지고 있는 중으로 저렴한 가격에 매수했을 때 향후 금리 인하 시 가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연준의 금리인상 정책 중단: 연준(FED)은 강력한 물사 상승에 대비해 엄청난 기준금리 인상 정책을 펼쳤고 그에 따라 국채 가치는 연쇄적으로 하락해 현재 주가에 도달했습니다. 최근 진행된 6월 FOMC에서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시그널은 없었기 때문에 장기 국채 주가 하락에 대한 가장 큰 리스크가 해소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전통적인 안전자산: 최근에야 국채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했지만 전통적으로 장기국채는 현금 다음의 안전자산 역할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위기로 모든 주가가 일제히 하락할 때 방어 효과로 장기국채는 큰 폭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큰 주가 하락 헷징 차원에서 일부 비중을 항상 TLT ETF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
개인적으로 미국 자산에 투자 함은 원화 자산을 달러 자산으로 치환하는 사항으로 원화보다 국제 시장에서 평가받는 달러의 가치와 힘이 더 크기 때문에 환율에 따라 투자를 고민하기보다 여유자금 내에서는 환율에 상관없이 환전 후 미국주식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환율이 큰 부담이 되어 대응책으로 엔화로 환전해 일본판 TLT ETF인 2621 ETF에 우회 투자하는 방법도 있어 해당 사항은 아래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엔화로 일본판 TLT 투자하는 방법 바로가기]
[미국주식] 엔저시대 엔화로 미국 장기국채 투자하는 방법 (2621 ETF 주가 및 배당정보)
*본 글은 개인이 경험한 주관적인 내용으로 투자에 대한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엔화 10년 중 최저일본 엔화환율+미국장
2mattia.tistory.com
현재 2621 ETF는 마이너스를 기록하던 수익률이 1% 미만으로 줄어 잠시 추가매수는 진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TLT ETF 투자현황
3,848,580원
2주를 추가 매수한 수량을 포함해 현재 TLT를 통한 투자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보유수량: 31주
- 매입금액: 4,227,692원
- 평가금액: 3,874,690원
- 평가손익: -353,002원
- 누적배당금: 47,271원
아직 TLT ETF를 통한 평가 손익은 -35만 원을 기록 중입니다. TLT를 통한 누적배당금은 4만 7천 원으로 평가손익 합산 시 손실을 조금 만회해 주고 있습니다.
1년 예상 TLT 배당금이 현재기준 원화로 15만 원으로 현재 위치에서 배당금만 수령해도 손실이 절반 만회되는 위치인 동시에 TLT는 보험 측면에서 항상 미국주식 포트폴리오에 특정 비중 이상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현재의 손실은 크게 의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마무리하면서
장기 국채 가격이 지지부진한 만큼 조금씩 늘려가는 비중
미국 연준(FED)에서 금리 인상 계획이 없기 때문에 현재 주가의 변동성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 중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추가 하락해 다시 주가를 낮춰주면 더 저렴하게 미국 장기 국채 ETF를 모아갈 기회삼아 조금씩 비중을 늘려갈 계획입니다. TLT ETF는 월배당 ETF로 주가가 지지부진해도 국채 수익에 의한 배당금이 매월 입금되기 때문에 투자 손실은 배당금으로 조금씩 낮춰지고 있습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부업, 매달 배당금 주는 미국주식 TLT ETF 추가 매수(미국 기준금리 대응 포트폴리오 리벨런싱) (0) | 2024.07.06 |
---|---|
매달 달러 받는 미국주식 배당주 투자, QYLD ETF 배당금 입금(+누적배당금, +61.86달러) (0) | 2024.07.04 |
미국주식 공부, 미국 대표 11개 산업 분류와 섹터별(업종별)ETF, 대표회사 알아보기(미국주식 투자할때 11개 산업 분류를 알면 좋은점) (0) | 2024.07.01 |
QYLD ETF와 커버드콜 전략: 지속 가능한 현금흐름을 유지할 수 있을까?(연 10% 배당금에 대한 생각) (3) | 2024.06.16 |
[직장인 부업]미국 월배당주로 달러 월급 만들기 화이자(PFE) 배당금 입금(누적배당금, +57.47) (2)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