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공부

주식 매수전에 알면 좋은 주식용어, PER, P/E, P/E Ratio 뜻 + 활용법

by 머니로거 2024. 3. 18.
반응형


PER? P/E? P/E Ratio?

가격대비 주당순익

주식 투자를 할 때 한 번은 듣는 말이 “저 PER가 좋다.” 혹은 “PER가 10 이하인 기업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는이야기를 종종 듣곤 합니다. 매수를 고려하는 종목의 PER를 확인해 보면 사이트에 따라 PER, P/E, P/E Ratio 등 다양한 문구로 작성되어 있는데  3개의 항목은 각각 표기에 따라 의미가 다른 걸까요? 정답은 "아니다."입니다.

그 의미를 찾아보면 PER, P/E, 그리고 P/E ratio는 모두 같은 개념임을 알 수 있습니다. 3개의 표기  모두 "Price Earnings Ratio"의 약어로, 주식의 현재 가격을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냅니다. 다만, 다른 용어로 표기하는 이유는 각 나라나 금융 전문가들 간에 표준 용어가 없기 때문입니다. 종종 이 용어들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동일한 개념을 나타냅니다.

PER 산출방법

PER 또는 P/E 산출은 주식의 시총을 당기순익(EPS)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이를 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PER = 주식의 현재 가격/주당 순이익(EPS)


주식의 현재 가격은 시장의 현재가격으로 대입되며, 주당 순이익은 기업의 최신 재무제표에서 가장 최신의 주당 순익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시총 100억의 회사가 가장 최근 주당순익이 4억을 기록했다면 PER는 25가 됩니다.
이때 PER가 의미하는 바는 현재 가격에서 회사가 벌어들이는 순익을 현재 이상 유지될 때 투입 자금을 벌어들이는데 25년이 걸린다는 의미가 됩니다. 당연히 PER가 낮을수록 회사 순익을 통해 투자 원금에 도달하는 기간이 짧아지게 되는데 보통 그렇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PER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전문가들은 이야기합니다.

PER가 높다? 낮다?

PER이 높다, 낮다는 산업분야 혹은 종목 기준에 따라 상세하게 다르겠지만 보통 전문가들은 10을 기준으로 이하냐 이상이냐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며 성장 가능성이 큰 IT산업의 경우 항상 높은 PER를 형성할 수 있음을 참고해야 합니다.
통상적으로 PER가 높은 경우는 아래 두 가지 경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1. 주당 순이익은 평균이지만 주가가 급등했거나 평균적으로 주가가 높게 형성된 경우, 2. 주가는 평균이지만 주당 순익이 감소하거나 평균적으로 낮게 형성된 경우입니다.
통상적으로 PER가 낮은 경우는 아래 두 가지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1. 주당순익은 평균이지만 주가가 급락했거나 낮게 형성된 경우, 2. 주가는 평균이지만 주당순익이 급증하거나 높게 형성된 경우입니다.
PER의 경우 해당 종목의 평균적인 수치 혹은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에서 일반적인 평균 PER와 비교할 때 가치평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728x90

PER의 활용방법

PER 산출 식을 통한 활용방법

PER의 산출 식을 통해 활용해 투자 대상 종목의 가치를 분석하는 방법을 찾아본다면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1. 비교 분석: PER을 사용하여 투자 대상 분야의 종목들을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산업 부문에서 비슷한 기업들의 PER을 비교하여 가치가 있는 하나의 주식을 선택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ex. 펩시 vs코카콜라, AT&T vs 버라이즌 등) 같은 섹터에서 경쟁하는 회사 중 하나의 회사를 선택할 때 낮은 PER을 가진 주식은 현재 가치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2. 역사적 분석: 투자를 고려하는 기업의 역사적 PER을 살펴보고 현재 PER과 비교함으로써 주식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 PER이 역사적인 평균보다 낮다면, 해당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3. 성장 가능성 평가: PER을 사용하여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Yahoo Finance를 통해서 투자를 고려하는 기업의 PER를 검색해 본다면 현재의 PER인 Trailing P/E와 미래 순익 성장치를 예측해 산출된 Forward P/E가 있습니다. 당연히 현재시점인 주가총액 모수는 같기 때문에 Forward P/E가 Trailing P/E보다 얼마나 낮은 값으로 설정되냐에 따라 미래에 순익이 증가함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 예측이며 갑작스러운 돌발 상황에 따라 시장은 급변할 수 있음을 참고해야 합니다.
4. 시장 전망과 비교: PER을 사용하여 투자하려는 기업의 주가가 시장 전망에 비해 고평가 되었는지 혹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만약 시장 전망이 긍정적이지만 PER이 낮다면, 해당 주식은 저평가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PER를 활용해 투자를 고려하는 회사의 가치를 예측하거나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와 회사의 순익은 경제 상황에 따라 계속 변동하기 때문에 당연히 PER만으로 주식을 평가하는 것은 때론 심각한 오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 회사를 분석하는 하나의 지표로 활용 필요합니다.


개인적인 PER 활용법

개별 종목은 역사적인 PER를 경쟁 업체의 비교는 산업 평균 PER

내용을 정리해 보면 PER는 주당 순익이 급락하지 않은 상황이라는 조건하에 낮은 PER가 유리합니다. 하지만 종목 개별의 특성에 따라 혹은 산업 특성에 따라 개별종목 안에서 PER를 활용한다면 해당 기업의 역사적인 평균 PER를 산출해 현재 PER가 순익과 기업의 펀더멘탈이 동일하다는 조건하에 평균보다 낮다면 해당 종목의 주가는 저평가 국면으로 들어갔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같은 산업의 경쟁하는 두 업체 간 매수를 고민할 때는 해당 산업의 일반적인 PER를 찾고 각 종목별 비교를 통해 고민하는 두 기업 중에 저평가된 종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서로 다른 산업 간 PER의 1:1 비교는 무의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IT 섹터의 경우 실적보다 미래 성장가능성을 점차 평균적으로 PER가 높게 나올 수 있고 제조업의 경우 매출은 일정하지만 제품 생산에 따라 순익 구조가 낮고 성장성이 느린 산업이라면 PER가 낮게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