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좋은 미국주식 투자 습관 손익계산서 확인하기, 애플(AAPL) 주가하락 손익계산서 점검.

by 머니로거 2024. 4. 20.
반응형

 

* 본 글은 개인이 경험한 주관적인 내용으로 투자에 대한 권유가 아닙니다.      
*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Yahoo Finance 'Financials' 탭 알아보기

Income Statement

Yahoo Finance에서 'Financials' 탭에 들어오면 가장 먼저 보게 되는 페이지가 Income Statement입니다. Income의 의미는 소득 및 수입 Statement의 의미는 성명서, 진술서 등으로 합치면 손익보고서 혹은 손익계산서라는 뜻이 됩니다. 손익계산서는 어떤 한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과 비용을 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한 재무제표로 투자하는 기업이 여전히 돈을 잘 벌고 있는지 확인 가능한 자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개별 종목에 투자하고 있다면 분기마다 새로운 실적이 나오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Yahoo Finance 애플(AAPL) 검색결과

각 항목별 의미

손익계산서에 대한 항목별 설명을 위해 24년 4월 20일 기준 애플(AAPL)을 Yahoo Finance를 통해서 검색을 했고 위 이미지는 Yahoo Finance를 통해 살펴본 애플(AAPL)의 손익계산서입니다. 모든 항목을 면밀히 살피면 좋겠지만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5개 정도만 확인하고 있습니다. 각 항목별 의미를 먼저 살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Total Revenue: 총수익, 기업이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모든 수익의 총량 Total Revenue에는 세금 및 비용 등이 제외되지 않은 전체 수익이 작성되어 있다.'
  • Cost of Revenue: COR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의미하는 바는 제품 및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총비용을 의미합니다.
  • Gross Profit: Total Revenue - Cost of Revenue = Gross Profit 즉 총수익에서 제조원가를 제외한 금액
  • Operating Income: 영업이익이라고 불리며 매출 Total Revenue 에서 영업비용(제조비용+판매비+관리비 등)
  • Net Income: 한국에서는 당기순이익이라고 부르며 기업의 전체 수익(Total Revenue)에서 영업비용 세금 모든 것을 제외한 순수 이익을 의미함. 당기순이익의 산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순이익 = 영업수익 – 영업비용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등) + 기타 손익 + 금융손익 – 법인세비용
728x90
4년 손익계산서로 보는 애플(AAPL)

Yahoo Finance를 통해 확인가능한 애플의 손익계산서는 1년 단위로 검색 시 9월 30일을 기준으로 매년 결과가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4년간 손익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Total Revenue]
- 2020/9/30: 274,515,000
- 2021/9/30: 365,817,000
- 2022/9/30: 394,328,000
- 2023/9/30: 383,285,000

[Cost of Revenue]
- 2020/9/30: 169,559,000
- 2021/9/30: 212,981,000
- 2022/9/30: 223,546,000
- 2023/9/30: 214,137,000

[Gross Profit]
- 2020/9/30: 104,956,000
- 2021/9/30: 152,836,000
- 2022/9/30: 170,782,000
- 2023/9/30: 169,148,000

[Operating Income]
- 2020/9/30: 38,668,000
- 2021/9/30: 43,887,000
- 2022/9/30: 51,345,000
- 2023/9/30: 54,847,000

[Net Income]
- 2020/9/30: 57,411,000
- 2021/9/30: 94,680,000
- 2022/9/30: 99,803,000
- 2023/9/30: 96,995,000

4년 손익계산서를 통해 애플의 현황을 살펴보면 우선 총 매출에서 22년까지 매년증가하는 총매출이 23년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입니다. 아마 최근의 주가하락은 총매출의 감소한 영향이 어느 정도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비용인 COR은 22년 까지 증가세를 유지하다 23년 감소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2년까지 거의 10%대 물가상승의 영향을 받아 제조원가가 증가해 지속적인 상승을 보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행히 23년은 연준(FED)의 금리인상 정책으로 물가상승률이 3%대로 감소했고 그 영향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행히 매출은 줄어들었지만 경영을 잘했는지 영업이익은 23년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총 매출이 줄었기 때문에 비용 및 세금을 제외한 순이익 또한 22년 보다 감소하면서 총매출과 함께 감소세에 진입했습니다.


정리

손익계산서 체크 항목

손익계산서를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크게는 다음 5가지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1.Total Revenue 기업의 순수 매출의 총양만 집계한 총수익, 2. Cost of Revenue 고객에게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비용 증감 여부에 따라 물가상승에 대한 영향이나 기업의 제조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다. 3.Gross Profit 총수익에서 제조원가인 Cost of Revenue을 제외한 금액 4. Operating Income 영업이익이라고도 불리며 총매출에서 제품 생산을 위한 비용 판매비용 관리비용을 전부 제외한 금액 5.Net Income 회사를 운영하면서 발생한 세금까지 전부 제외하고 남은 순수익.

애플의 주가하락은 매출과 순이익 감소

다행히 영업이익은 상승세를 유지 중이지만 애플의 총매출 감소와 영업이익 감소는 하락하는 주가를 방어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24년 매출이 또 한 번 23년보다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주가는 추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