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개인이 경험한 주관적인 내용으로 투자에 대한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글은 별도 대가 없이 정보 전달을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IRP 연금 계좌로 한국형 SCHD 상품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연금계좌=장기투자
SCHD ETF는 현재 미국에 상장된 ETF로 미국에서 안정적이며 높은 배당금을 주는 회사들로만 구성된 배당 성장 ETF이다.
매년 평균 10% 이상의 배당금을 성장시키고 있기 때문에 연금계좌에서 실제 수령일까지 20년 이상 장기투자를 한다는 고려 하에
연금 수령 시기의 배당금은 지금과 비교가 불가하다. 간단하게 연금계좌, IRP 계좌로 한국판 SCHD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를 7가지로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 다양성과 분산: 배당주 ETF는 여러 기업의 배당주를 모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므로, 투자자는 단일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시장의 다양한 부문 및 기업들에 분산 투자할 수 있다.
- 안정적인 소득 흐름: 배당주 ETF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을 제공한다. 이는 투자자에게 안정적인 현금 수익을 제공하여 재정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전문적인 운용: 배당주 ETF는 전문적인 자산 관리 회사에 의해 운용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전문가의 경험과 지식에 기반하여 배당주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비용 효율성: 배당주 ETF는 일반적으로 관리 수수료가 낮고 거래 수수료도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IRP 계좌 안에서는 배당소득세를 따로 내지 않고 우선 지급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투자자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얻을 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장기 투자 전략: 배당주 ETF는 장기 투자 전략에 적합하다. 장기간 보유 시 복리 효과를 이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 시장의 변동에 대한 저항력: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들은 종종 안정된 기초를 가지고 있어, 시장의 변동에 상대적으로 저항력을 보일 수 있다.
- 편리한 거래: 배당주 ETF는 거래소에서 쉽게 거래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에게 유동성을 제공하여 필요할 때 언제든지 주식을 사고팔 수 있게 한다.
한국형 SCHD ETF 비교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IRP 계좌에서는 한국상장 ETF만 거래 가능해 최근 주목을 받은 미국 배당 성장 ETF SCHD에 직접 투자하지 못해 아쉬운 상황에
SCHD ETF와 동일하게 Dow Jones U.S. Dividend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한국 증권사에서 출시함에 따라
한국에서도 동일하지만 상품만 다른 SCHD ETF에 투자할 길이 열렸다.
우선 SCHD ETF에 대해 모르거나 듣기는 했지만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란다.
2024.01.19 - [미국주식] - [미국주식] 배당주 ETF 추천, SCHD ETF 배당금 및 주가 알아보기
각 상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458730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446720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402970 |
|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주) | 신한자산운용 주식회사 | 한국투자신탁운용 |
ETF 운용 보수 | 0.010% | 0.010% | 0.010% |
분배금 지급일 | 매월 마지막 영업일(월배당) | 매월 마지막 영업일(월배당) | 매월 마지막 영업일(월배당) |
시가총액 | 3,852억원 | 3,972억원 | 2,110억원 |
순 자산 | 3,827억원 | 3,975억원 | 2,102억 원 |
순 자산 - 시가총액 | -25억 | + 3억 | -8억 |
상장일 | 2023-06-20 | 2022-11-15 | 2021-10-21 |
분배금 지급현황 (23년 7월~12월 ) |
주당 202원 | 주당 181원 | 주당 267원 |
기초기수 | Dow Jones U.S Dividend 100 |
ETF 운용 비용인 운용 보수 면에서는 3개의 ETF가 비슷한 모습이다.
하지만 분배금 지급 형태는 ACE 미국배당다우존스가 분기배당 형태를 하고 있어 나머지 2개 상품은 월배당 형태로 지급하고 있어 투자자의 유연한 현금흐름상 좋지 않다.
마지막으로 ETF의 순자산과 시가총액을 비교해 보면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만 시가총액 이하로 순 자산 가격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기준 이는 ETF 실제 가치보다 1주당 많은 가치를 현재 담고 있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지금 기준 ETF를 정산해서 한 주당 투자금을 돌려준다면 SOL만 투자금 이상을 받을 수 있고 TIGER와 ACE는 순 자산 가치보다 시총이 높기 때문에 투자금 대비 적은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23년 7월 이후 주당 지급 분배금을 비교해 보면 ACE 미국배당다우존스가 가장 높다.
결론
월배당, 순 자산가치, 분배금
우선 ETF 운영 비용은 현재 3개 상품 표면상 0.01% 이하로 큰 차이는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 지급된 분배금은 조금의 차이가 있는데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가 23년 6월에 상장된 점을 고려 7월~12월까지 주당 실제 지금된 분배금의 경우 ACE 미국배당다우존스가 가장 많은 분배금을 지급했다.
마지막으로 현재 ETF가 담고 있는 순 자산가치가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보다 높냐 낮냐는 내가 사는 ETF의 1주의 가치와 직결되는데
24년 1월 20일 기준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를 제외하면 현재 시총이 순 자산가치보다 높기 때문에 투자 시 고려해 볼 지표가 된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