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다양한 투자와 재테크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꿈꾸는 블로그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입니다. 경제적 자립을 위해 투자에 도움이 되며 실제 참고 중인 사항들을 주기적으로 리뷰하고 있습니다. 글 내용에 관심이 있다면 블로그 구독, 댓글, 공감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9월 4주차 미국, 한국 각 업종별 대표 ETF의 RSI지표를 비교해 보고 어떤 산업들이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고 어떤 업종들이 과매도 구간에 위치해 있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과매수, 괘매도 여부에 따라 보유종목을 매도하는 타이밍을 확인하거나 반대로 종목을 매수하는 타이밍을 가늠해 보는 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매수 종목은 평균대비 주가가 높게 현성된 종목들로 평균대비 비싼 가격에 거래되기 때문에 신규 매수 분야에서 제외하거나 보유 종목을 매도하는 계획을 세웁니다. 반대로 과매도 종목은 향후 지속 발전될 산업의 경우 긴 시간 동안 적립식 매수 계획을 세워 향후 주가 반등 시 시세차익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9월 4주차 한국 업종별 주가동향
가장 과매도된 산업: 2차 전지 / 가장 과매수된 산업: 은행
한국 주식시장을 살펴보고 분석하기 위해 9월 4주차 업종별 대표 ETF를 RSI지표를 통해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 12개 업종별 대표 ETF를 월봉, 주봉, 일봉상 RSI를 비교해 보고 가장 과매수된 산업과 가장 과매도된 산업을 3개씩 도출해 보고 있습니다. 먼저 가장 과매도된 산업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KODEX 2차전지산업 ETF
- KODEX 에너지화학 ETF
- KODEX 건설 ETF
반대로 12개 국내 업종 중에서 가장 과매수된 산업을 순서로 3개 나열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KODEX 은행 ETF
- KODEX 헬스케어 ETF
- KODEX 운송 ETF
전반적인 과매도, 과매수 종목의 TOP3 순위는 지난주와 동일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RSI 지표는 반등한 주가만큼 모든 산업에서 순위만 유지한 채 전체 소폭 상승한 모습니다. 최근 한동안 집중적으로 매수하던 2차 전지 산업 ETF는 손실에서 수익구간으로 전환됨에 따라 한동안 수익이 유지되는 구간 동안에는 미국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에 적립식 매수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9월 4주차 미국 업종별 주가 동향
비교적 과매도된 산업: 에너지 산업(XLE ETF) / 가장 과매수된 산업: 통신 설비(XLC)
미국 주식시장을 살펴보고 분석하기 위해 9월 4주차 업종별 대표 ETF를 RSI 지표를 비교해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미국 11개 산업을 RSI를 통해 월봉, 주봉, 일봉을 각각 비교해 본 결과 아직도 모든 산업에서 대부분 60 이상을 기록 중이거나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상 미국 주식시장은 아직 과열된 구간을 유지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9월 4주차에 그나마 덜 과열된 3개 종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XLE ETF, 에너지
- XLB EF, 소재
- XLY ETF, 소비자 재량 소비재
반대로 9월 4주차에 가장 과열된 모습을 보이며 시장을 마무리한 종목을 3개 반 골라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XLC ETF, 통신설비
- XLF ETF, 금융
- XLI ETF, 산업
현재 대부분의 미국주식 일반 종목은 과매수 구간에 진입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가중될 때를 대비해 미국 국채 투자 비중을 80% 이상을 유지하며 20% 비중으로 나머지 일반 종목을 나누어 투자 중입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24년 9월 4주차의 미국과 한국 주식시장분석을 위해 대표 업종별 ETF의 RSI 지표를 비교해 본 결과 가장과매수된 산업은 한국의 경우 은행, 헬스케어, 운송 산업이 있었으며 미국의 경우 통신설비, 금융, 산업이 있었습니다. 반대로 가장 과매도된 산업의 경우 국내 주식시장은 2차 전지, 에너지화학, 건설 산업이 과매도 산업에 위치하며 미국의 경우 과매도 산업은 없으나 그나마 덜 과열된 산업 기준으로 확인 시 에너지, 소재, 소비자 재량 소비재 산업이 집계되었습니다.
과매수 산업은 평균대비 거래 가격대비 현재 주가가 높게 형성된 종목으로 개인적으로 보유 중이라면 매도고려를 고민하고 신규 매수 종목 리스트에서 배제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과매도 산업은 평균 거래 가격대비 현재 가격이 낮게 현성된 종목으로 보유 중인 종목이 있다면 손실구간에서 추가매수를 고려하고 신규 투자가 필요할 때 매수 리스트에 추가해 투자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물론 과매도 산업의 경우 기본적으로 해당 산업의 위치와 중요성이 변함없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투자 진행 시 시세차익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한국 주식시장 분석 각 업종별 과매수, 과매도 산업 알아보기: 24년 10월 2주차 (5) | 2024.10.16 |
---|---|
돈 공부, 모건 하우절 저서 불변의 법칙: 절대 변하지 않는 것들에 대한 23가지 이야기 리뷰 및 소개(세계적인 베스트셀러 경제관련 서적 리뷰) (9) | 2024.10.10 |
미국+한국 주식 시세탐구, 업종별 과매도or과매수 분야 알아보기: 24년 9월 3주차 (6) | 2024.09.22 |
기준금리 전망, 24년 9월 FOMC 요약: 미국 기준금리 인하 0.5% 빅컷 발표(미국 금리인하가 한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 (13) | 2024.09.20 |
‘미국 9월 금리인하 할까?’ 잭슨홀 미팅의 의미와 주요 확인사항: 연준(FED) 정책 방향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