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직장인 부업 미국주식 월배당 투자, QYLD ETF 일부 비중 매도를 진행한 이유와 투자관점

by 머니로거 2024. 8. 28.
반응형

QYLD ETF 투자 특징 그리고 매도

과매수 구간 진입을 확인

안녕하세요 다양한 투자와 재테크 수단을 탐구하며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하는 블로그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입니다. 지난밤 QYLD ETF의 8월 배당금 리뷰를 통해서 주가가 어느 정도 과열 구간에 진입함을 확인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부 비중 축소가 필요함을 느꼈고 바로 실행에 옮겨 매도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QYLD ETF를 투자하면서 느낀 특징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지수추종: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함
  • 옵션매도: 일부 비중을 커버드콜(Covered Call) 운영
  • 분배형: 주가 상승은 제한적이나 높은 배당금을 분배

정리하자면 QYLD ETF는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동시에 커버드콜(Covered Call) 옵션전략을 일부 비중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승은 제한적이면서 지수 하락 시 함께 하락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물론 QYLD ETF를 주가 상승을 보고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배당금을 오랜 기간 누적하는 복리 효과를 노리며 접근하는 종목입니다. 하지만 주가 상승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한번 큰 하락을 맞으면 주가를 회복하기 어려운 종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매수 구간에 비중을 덜고 과매도 구간에 다시 매수하는 전력을 당분간 지속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몇 달 배당금 적게 받는 손해를 보더라도 주가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대한 관리해볼 계획입니다.


QYLD ETF 과매수 구간 진입

일봉:82, 주봉: 63, 월봉: 72

QYLD ETF 24년 8월 배당금을 리뷰하면서 주가의 과매수, 과매도 여부를 알려주는 RSI 지표를 확인해 본 결과 단기, 장기적으로 과매수 구간에 진입함을 확인했습니다. 
RSI지표는 보통 30 근처를 과매도 60 이상을 과매수로 분류합니다. 최근 강한 반등에 힘입어 일봉에서 82, 월봉에서 72에 도달함을 확인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QYLD ETF는 장, 단기적으로 과매수 구간에 진입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다면 시장 참여자들은 가격에 대한 의구심을 품는 투자자들이 많아질 것이며 그로 인해 주가 상승확률보다 하락 가능성이 커질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몇 달간 배당금을 조금 받더라도 우선 손실이 없는 현재 시점에 매도를 통해 투자 비중을 줄이려고 합니다.

반응형

QYLD ETF 비중 축소 

비중 7.5% 감소

QYLD ETF는 개인적으로 주가의 상승을 기대하며 투자하는 종목이 아닙니다. 높은 배당률을 이용해 현금흐름을 확보하고 이를 이용해 복리효과를 기대하며 투자 중인 종목입니다. 하지만 현재 평균 매수 단가가 과매수 구간에 맞춰져 있어 장기적으로 주가 하락 확률이 크기 때문에 잠시 배당금이 줄게 되더라도 투자 비중을 일부 줄이기로 결정했습니다.

미국주식 월배당 투자 포트폴리오 자산별 비중

QYLD ETF의 투자 비중은 기존에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18.1%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7.5% 감소시켜 10.6%로 투자 비중을 줄이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18%였던 QYLD ETF의 투자 비중은 현재 10% 안팎으로 감소했습니다. 개인적으로 과매수 구간을 지날 때까지 10% 정도의 투자 비중을 유지할 계획입니다.
투자 비중을 축소하면서 8월 약 8달러 지급받은 배당금은 4~5달러 수준으로 줄어들 예정입니다.


본 글은 개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생각을 작성한 글로 투자 권유나 종목추천 글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습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