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24년 8월 발표 미국주요 경제지표 정리: 9월 미국 기준금리 예상(미국 실업률, CPI, ISM 제조업지수, ISM 비제조업 지수)

by 머니로거 2024. 8. 20.
반응형

24년 미국 7월 주요 경제지표를 살펴보며

24년 7월의 주요 미국 경제지표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경제지표는 투자 시 향후 금리의 방향과 투자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점이 되는 지표입니다. 경제지표는 지난 시점에 결과가 도출되기 때문에 매월 초에 이전달의 각종 경제지표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대표 경제지표로 불리는 실업률, CPI, ISM 제조업 지수, ISM 비제조업 지수의 최신 형황을 리뷰해 보려고 합니다.


실업률(Unemployment)

4.3 / AUG 2, 2024

7월 미국 실업률이 8월 2일 발표되었습니다. 자세한 월별 변동 현황은 아래 이미지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미국 7월 실업률

최근 전 세계 투자자들이 많이 조회해 보는 미국 경제지표 중 하나인미국 실업률의 동향을 살펴보면 지속적인 상승 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보유 중인 종목들 또한 2분기~3분기 대규모 구조조정이 실행되고 있어 당분간 지속적인 상승세가 예상됩니다. 실업률 상승세는 경기 침체가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현재 기준에서는 5포인트를 돌파하며 지속적인 상승세가 유지될지가 중요 확인 포인트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2.9% / AUG 14, 2024

미국 주요 경제지표 중 하나인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변화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미국 7월 CPI

전반적인 CPI의 추세는 하락세를 이어가는 중입니다. 2달 연속 2%대에 진입했기 때문에 연준(FED)에서 걱정한 물가상승은 금리 정책으로 어느 정도 효과를 보고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제는 경기 침체가 악화되기 전에 금리를 인하하는 시점이 언제가 될지가 중요 확인사항입니다.

반응형

ISM 제조업 지수

46.8 / 24.08.01

미국 ISM 제조업 지수 7월 지표 및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investing.com

미국 제조업 부문의 경기 상황을 살피는 미국 경제지표인 ISM 제조업 지표는 7월 46.8포인트를 기록하며 지난달 대비 추가 하락하며 마무리되었습니다. 50을 기준으로 이상일 때 경기확장 미만일 때 침체를 뜻하기 때문에 제조업 분야는 24년 4월 이후 침체가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ISM 비제조업지수

51.4 / 24.08.05

미국 ISM 비제조업 지수의 7월 지표 및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Investing.com

미국 비제조업 부문 경기 상황을 살펴보는 경기지표인 ISM 비제조업 지수는 7월 51.4포인트를 기록하며 지난달 대비 경기가 호전된 상황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매달 번달아 가며 경기 침체와 확장을 오가고 있어 마냥 경기가 좋다고 볼 수만은 없어 보입니다.


미국 주요 경기지표는 침체로 진입

실업률 상승, CPI감소, 제조업 지수 침체, 비제조업 지수 양호

24년 8월 기준 미국 주요 경기지표를 취합해 보면 실업률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ISM 제조업 지수는 4달 연속 침체 국면에 진입했으며 ISM 비제조업 지수는 침체와 확장 구간을 반복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미국 연준(FED)에서 걱정하는 물가상승률은 매달 감소 추세를 유지하며 2%대에 진입을 했기 때문에 9월 FOMC 회의에는 높은 확률로 기준금리 인하가 시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방향은 국채나 현금 비중을 높이는 방어적인 형태를 유지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