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미국주식 월배당 ETF, 미국 기준금리 인하 대응 장기 미국국채에 투자하는 TLT ETF 추가매수

by 머니로거 2024. 8. 1.
반응형

서론: TLT ETF 추가매수

현재 투자 방향 설정에 있어 중요한 포인트는 하반기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진행될 연준(FED)의 금리인하가 정책일 것입니다. 매주 미국주식 동향을 체크를 하고 있지만 과열된 전반적인 미국시장과 반대로 움직인 자산을 찾으라면 국채를 언급 안 할 수가 없습니다. 급격한 금리 상승기와 동결기간 동안 역사적으로 가치 하락을 맞이한 미국 채권은 개인적으로 어쩌면 현재 미국시장 투자 시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 90달러 구간에 있을 때 전체 포트폴리오에 80%를 미국 장기 국채 상품에 투자할 계획으로 매주 TLT ETF를 조금씩 매수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추가 매수한 TLT ETF의 투자 현황과 주가에 대해 간단하게 리뷰해 볼까 합니다.


  TLT ETF 추가 매수

94.69 USD

지난밤 미국 20년 이상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TLT ETF를 추가 매수 했습니다. 가격은 95달러로 아직 90달러 초중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TLT ETF는 장기국채에 투자하는 동시에 국채투자로 인한 수익금을 월배당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지급하고 있어 국채 투자뿐 아니라 현금흐름 개선에도 도움이 되는 ETF입니다. TLT ETF 외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2mattia.tistory.com/5

 

[미국주식] 미국 국채 직접 투자 방법 및 종목 알아보기(TLT, ZROZ, TMF)

*본 글은 개인이 경험한 주관적인 내용으로 투자 추천 및 권유에 대한 글은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1. 국채의 의미와 특성 왜 미

2mattia.tistory.com

 


TLT ETF 투자현황

38주: 5,125,080원 / 총 예상 연간 배당금: 114 USD 

어제 TLT ETF를 추가 매수하면서 총 보유수량은 38주가 되었습니다. 38주를 매수하는 데 사용된 비용은 약 510만 원 정도 금액이 소모되었습니다. 그 외 투자현황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보유수량: 38주
  • 매입금액: 5,125,080원
  • 평가금액: 5,017,298원
  • 포트폴리오 투자비중: 70%
  • 연간 총 예상 배당금: 114 USD

약 510만 원 사용해 38주를 매수해 연간 예상되는 총배당금은 15% 배당소득세를 제외하고 약 114달러입니다. 아직은 매입금액대비 주가는 손실구간을 유지 중이라 손해는 보고 있지만 추가매수 할 때 매수한 금액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부담 없이 매수하고 있습니다. 전체 포트폴리오의 투자 비중은 70%를 유지 중입니다. 일본에 상장된 TLT 동일 투자상품인 2621 ETF까지 포함한다면 현재까지 미국 장기국채에 투자하는 비중은 약 76%입니다. 목표 비중까지 약 4% 남겨둔 상황입니다.


TLT ETF 주가현황

일: 60.81 / 주: 73.63 / 월: 47.43 

TLT ETF의 과매수, 과매도 여부를 알려주는 RSI 지표를 살펴보면 월봉상 47.43을 기록하며 완전히 과매도 구간은 아니지만 모든 산업 분야가 60 이상을 기록 중인 미국주식보다 상대적으로 과매도 구간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8월 1일 첫날 TLT ETF의 주가현황은 95달러로 80달러 대에서 최근 반등해 단기적으로 과열구간에 있지만 아직 10년 전 주가보다 저렴한 구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