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RP

직장인 재테크, 직접 굴리는 퇴직연금 IRP 계좌로 국채 직접 투자 하기 한국 국채 투자 후기(나라에 돈 빌려주고 이자 받는 방법)

by 머니로거 2024. 6.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양한 재테크 및 투자 방법을 탐구하고
직접 실행해 보며
최종적으로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블로그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입니다.

오늘은 퇴직연금 IRP 계좌를 통해
할 수 있는 다양한 투자 상품중
ETF가 아닌 국채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과
매수 리뷰를 하려고 합니다.

본 글은 투자 권유나 종목 추천글이 아닙니다.
개인의 경험과 주관적인 생각에 대한 기록으로
투자에 대한 결과와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728x90

한국 국채를 사다

국고 04125-3312

 
국채는 ETF로만 투자해 왔는데
평소 운영 중인 퇴직연금 IRP 계좌에서
국채 상품을 직접 매수할 수 있다는 정보를 듣고
예금에 투자 중인 비중 일부인
100만 원 정도 수량을 1차 매수했습니다.

국채 매수 현황

매매단가가 10,845원으로 100만 원 결제 시
매매단가에 따라 922,000원 결제되었습니다.
기간은 33년 12월 만기로
시세차익을 보고 중간에 매도해도 되고
만기 시까지 설정된 이자만 받다가 만기 시
원금을 돌려받는 방법이 있어
상황과 투자 성향에 따라 알맞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국채를 IRP 계좌에서 안전자산으로 취급해
30% 현금성 자산 범주에 포함될지는
아직 확인이 안 되어 증권사에 확인 후
추후 상세 리뷰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국채 직접 투자 이유

지금은 예금보다 이자?


IRP 계좌는 강제로 30% 현금성
자산을 매수하게 되어 있는데
 
국채는 금리 상승기만 아니면
현금과 동일한 안전자산 성격의 가치를 유지하며
발행 시 정해진 기준금리에 따라 설정된
이자를 배당금과 같이 투자자에게
만기 시까지 지급하게 됩니다.
 
현재도 예금 금리가
기준 금리에 따라 3~4%를 유지 중이긴 하지만
1년 단위로 만기가 찾아오기 때문에
내년에 만기해제 이후 재설정 시
현재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비교적 만기일이 긴 국채가 설정된 3~4%의
이자만 받게 되더라도 현재 예금보다 유리한 상황입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희박

 
또한 국채 가격에 치명적인
금리인상은 6월 FOMC 점도표를 통해
인하시기와 횟수와 시기에 대한 고민일 뿐
추가 인상에 대한 가능성은 희박하기에
더 이상 국채 가치의 하락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매수 가격을 최소 유지할 가능성이 크고
금리인하 도래 시 반대로 국채 가치 상승으로
오히려 매수 가격보다
상승해 시세차익까지 노려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국고 04125-3312

표면금리 4.125%

 
매수한 국고 04125-3312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매매단가: 10,845원
잔존만기: 9년 6개월
표면금리: 4.125%
이자지급주기: 6개월

 
해당 국고채의 표면 금리라는 4.125%로
매년 4.125%의 이자를
남은 잔존만기 9년 6개월 동안
6개월 단위로 지급 함을 의미합니다.
 
더구나 IRP 계좌에서 투자를 진행하기 때문에
이자에 15% 소득세 없이 온전히 계좌로 입금될 예정으로


마무리하며

나라에 대출해 주는 방법

 

채권에는 여러 종류의 발행 주체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앞에 국고라고 적힌 상품들은
대한민국 정부 발행 국채이며
이를 사는 것은 나라에 나의 현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이자를 받는 국가로부터
이자를 지급받게 되는 형태입니다.
 
개인 회사의 채권이 아닌
나라의 신용을 기반으로 한 채권으로
금융상품중 가장 안전자산에 가까운 상품입니다.
 
하지만 금리 상승기에는 취약한데
현재 기준금리는 동결에 이어 하락을 보고 있기 때문에
국채 투자에 좋은 시기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실제 투자 효과와 이자 지급에 대한 내용은
시간을 두고 변화되는 자산 가치와
실제 이자를 지급받은 후에 후기를 작성해 볼까 합니다.
 
투자에 대한 내용과 향후 변화가 궁금하다면
블로그 구독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