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RP

[직장인 재테크] 직접 준비하는 개인연금, IRP 투자 ETF 종목 리스트

by 머니로거 2024. 1. 8.
반응형


개인연금에 투자하는 이유

스스로 준비하는 개인연금

 
IRP(Individual Retirement Plan)을 준비하는 이유는 사람에 따라 많은 이유들이 있겠지만 막강한 세금 혜택이 가장 큰 이유가 된다.  IRP 세금 혜택에 대해서는 별도 정리한 글이 있어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란다.

 

2023.03.20 - [IRP] - [직장인 재테크] IRP 계좌 꼭 만들어야 하는 이유(IRP 세금혜택 정리)

 

그 외에도 연금 지급 시기까지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당장 수익을 내야 한다는 조급함 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를 할 수 있고 위험자산 또한 ETF로 한정되기 때문에 일반 주식계좌보다 안정적이다. 그렇다고 하지만 IRP에서 투자 가능한 상품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어떤 ETF들이 있는지 확인 후 투자 개인의 투자 전략을 세워보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개인적으로 계획 중인 IRP 계좌 투자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다. 
예금 30%(고정), 미국 지수 ETF(50%), 한국 산업별 섹터 ETF(20%)
예금은 IRP 계좌 특성상 강제적으로 30% 투자 해야하기 때문에 만기시마다 최대로 재투자할 생각이다.

미국 지수 ETF는 개인적인 저평가 지점이 다시 온다면 최대 50% 비중까지 담아볼 예정이다.
한국 산업별 섹터 ETF는 11개 중 저평가 지점에서 최대 20%까지 담아볼 예정이다.


 투자 계획중인 ETF 종목 리스트

미국 지수 ETF

미국을 가장 대표하는 지수는 S&P500 지수와 나스닥100 지수가 있다.
한국과 비교하면 코스피와 고스닥 같은 경우로 보면 된다.
현재 IRP 계좌에서 각 거래 가능한 미국 지수 추종 ETF는 아래와 같다. 
 

  1. S&P500: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S&P500
  2. 나스닥100: TIGER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
한국산업 섹터별 ETF

한국 산업별 섹터 ETF는 대표적으로 KODEX에서 주로 운용 중이다. 
미국과 유사하게 11개 이상의 산업군으로 분류되어 있다.
현재 장기적으로 가장 매도 우위인 섹터는 필수소비재로 보이며
반대로 매수 위위로 과열된 섹터는 반도체이다.
 

  1. KODEX 2차전지산업 (RSI: 일, 55.79 / 주, 43.96 / 월 51.02)
  2. KODEX IT (RSI: 일, 63.18 / 주, 63.17 / 월, 58.26)
  3. KODEX 반도체 (RSI: 일, 55.80 / 주, 69.42 / 월, 67.80)
  4. KODEX 헬스케어 (RSI: 일, 66.18 / 주, 74.28 / 월, 64.87)
  5. KODEX 바이오 (RSI: 일, 64.39 / 주, 59.53 / 월, 53.78)
  6. KODEX 자동차 (RSI: 일, 51.91 / 주, 48.14 / 월, 57.32)
  7. KODEX 필수소비재 (RSI: 일, 49.56 / 주, 52.21 / 월, 38.29)
  8. KODEX 에너지화학 (RSI: 일, 55.74 / 주, 48.02 / 월, 48.89)
  9. KODEX 건설 (RSI: 일, 32.88 / 주, 44.83 / 월, 53.51)
  10. KODEX 은행 (RSI: 일, 41.88 / 주, 51.29 / 월, 54.12)
  11. KODEX 운송 (RSI: 일, 69.23 / 주, 81.21 / 월, 57.89)

중요한 건 투자 시점

같은 종목도 언제 사느냐가 중요하다

 
결국 ETF든 주식이던 거래에 따라 가격이 형성되는 자산의 가격이 변동되는 경우
종목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개인적으로 더 중요한 것은 언제 사느냐 이다.

그렇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자산별 비중은 예금을 제외한 항상 최대로 유지하겠다 보다는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을 때 현재 전체 자산대비 최대치 비중을 작성한 사항이다.


*본 글은 개인이 경험한 주관적인 내용으로 투자에 대한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