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공부

주식 매수전에 알면 좋은 주식 용어, ROE(자기자본이익률) 뜻 의미 알아보기

머니로거 2024. 3. 29. 23:34
반응형


ROE?

Return on Equity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한국에서는 자기지본 수익률이라고 부릅니다.
ROE에서 "Equity(자본)"은 회사의 순자산을 나타냅니다. 이는 회사가 자산을 운영하기 위해 소유하고 있는 자본을 의미합니다.
ROE에서의 "Return(수익)"은 회사가 투자한 자본을 통한 이익을 의미합니다. 이는 회사의 자본을 통해 얻는 순익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OE는 회사가 자신의 자본을 통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확인하고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ROE 산출방법

ROE, 자기자본이익률 산출 식

ROE의 산출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ROE=(당기순익 / 자기 자본) X 100

산출 식을 요약하면 회사의 순익을 회사의 자본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화 한 결과로 도출됩니다. 당기 순익을 자본으로 나누었기 때문에 이는 회사가 자본을 통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새로운 이익을 창출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산출 식에서 당기순익은 총매출에서 각종 비용 등을 제외한 순익이기 때문에 ROE가 높다는 것은 회사의 자본을 이용해 그만큼 순익을 남겼다는 말이 됩니다. 따라서 ROE가 높은 회사들은 운영 효율이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누군가 100만 원 동일한 자본을 이용해서 투자를 해서 10만 원 이익을 남기면 ROE는 10이 되고 20만 원을 남기면 ROE는 20이 됩니다. 동일한 100만 원이지만 후자가 전자보다 더 많은 이익을 벌어들였기 때문에 더 효율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728x90

ROE 보는 법

산업 평균을 비교로 확인

산출 식에 의해 나온 ROE 값을 판단하는 기준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개인적으로는 10 이상을 오랜 기간 유지하는 기업들을 우선적으로 필터링하고 있습니다. 일 년에 10% 수익 내는 게 뭐가 어렵냐 하겠지만 통상적으로  ROE 10 이상을 10년 이상 유지한 기업을 한국에서 나열하라고 하면 삼성전자도 포함되지 않을 만큼 나름 어려운 기준입니다.
그럼 무조건 ROE가 10 이상이면 좋은 것일까요? 답은 "아니다."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산업에서는 큰 공장 및 제조 장비 및 원료에 대부분 비용이 들고 제품을 팔아서 남는 이익은 크지 않지만 많은 물량을 팔아 수익을 남기는 구조라면 ROE는 높게 나오기 힘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 종류에 따라 평균적인 ROE가 다를 수 있는 만큼 모든 회사를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산업에서 경쟁 업체 간 평균 ROE와 비교했을 때 좀 더 정확한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가 마진이 높은 IT기업들의 ROE와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제조업의 경우 물건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소모 비용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일대일 비교는 어렵습니다.

마지막으로 특정기업의 역사적 ROE의 평균값을 수집해 알고 있다면 해당 회사가 평년대비 좋은 성적을 거두었는지 나쁜 성적인지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ROE 하나만으로 회사의 모든 것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다양한 지표들을 함께 비교 후 확인해야 합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