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말 많고 탈 많은 보잉(BA) 주식 사도 괜찮을까? 주가 및 배당금 분석

머니로거 2024. 3. 25. 22:55
반응형

*본 글은 개인이 경험한 주관적인 내용으로 투자에 대한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사건 사고의 중심 보잉(BA)

연속적인 사건과 품질 우려

전 세계의 항공기는 대부분 유럽에서 제조하는 에어버스냐, 미국에서 만드는 보잉이냐로 크게 나뉩니다. 하지만 최근 보잉 737 맥스 기종에서 운항중 도어 플러그가 떨어지거나 운항중 외장패널이 떨어져 나가는 사고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품질 우려의 중심에 있습니다.
품질이슈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설계상의 결함, 제조과정에서의 오류, 혹은 고객이나 운영자의 오용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보잉이 그동안 수익률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품질을 잃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737 맥스 기종의 품질이수 때문에 출고지연에 따라 많은 항공사들이 에어버스 대체주문을 위해 검토 중인 만큼 100년 역사 보잉에게 작지만은 않은 위기로 생각됩니다.


보잉 지표분석

1. 기업가치, Valuation Measures
출처: Yahoo Finance, 24.03.25

보잉의 현재 주가에 의한 시총 Market Cap은 115.22B 달러입니다. 매각 시 평가되는 Enterprise Value는 151.86B 달러입니다. 현재 시총대비 36.64B가 높은 약 31% 상승된 가격으로 시장에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품질 이슈가 아직 실적에 영향은 없었기 때문에 실제 매출까지 타격을 받는다면 해당 지표는 변동 가능성 있음을 참고해야 합니다.

2. 수익률, Profitability+Management Effectiveness+Income Statement
출처: Yahoo Finance, 24.03.25

보잉의 단기순익 Profit Margin은 -2.86%이며 영업이익을 확인하는 Operating Margin(ttm)은 2.59%입니다. ROE는 현재 측정불가로 N/A 처리되어 있습니다. 20년~23년 어닝은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23년까지 조금씩 회복하며 플러스 전환에 대한 기대심리가 있었지만 연속적인 품질 사고문제로 매출에 영향이 되어 지속적인 회복을 만들 수 있을지 확인 필요합니다.

728x90
3. 손익, Income Statement
출처: Yahoo Finance, 24.03.25

종합적인 손익은 마이너스이지만 보잉의 12개월 이익은 Revenue(ttm)는 77.79B를 기록 중입니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당기순익인 Quarterly Revenue Growth(yoy) 지표를 통해 작년보다 약 10.2% 손익 성장이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여전히 23년 전체 손익은 마이너스 손익이기 때문에 Diluted EPS (ttm)는 -3.66입니다.

4. 재무상태, Balance Sheet
출처: Yahoo Finance, 24.03.25

20년도부터 마이너스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부채대비 현금비중을 보여주는 보잉의 Current Ratio (mrq)는 1.14를 기록하며 1 이상의 양호한 모습을 유지 중입니다. 보잉의 최근 분기 현금자산 Total Cash (mrq)는 15.94B이며 최근 분기의 부채 Total Debt (mrq)는 54.12B입니다. 

5. 배당, Dividends
출처: Yahoo Finance, 24.03.25

보잉의 현재 배당수익률 Trailing Annual Dividend Yield는 현재 N/A 값으로 배당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원래 지급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2020년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셧다운을 시행한 여파로 항공기 수요가 감소했고 배당삭감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가장 큰 피해를 본 기업 중 하나인 보잉은 제품 결함이라는 두 가지 악재 속에서 어떻게 돌파구를 마련할지 향후 행방에 대해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2020년 손익이 -11.87B를 기록 후 가장 직전 연도에는 2023년 손익이 -2.2B를 기록하며 점점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마이너스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확인해야 하며 투자자를 그나마 버티게 하는 배당금, 자사주매입 또한 중단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투자 매력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하지만 전 세계의 항공산업의 양대산맥 중 하나인 동시에 오랜 운영에 의한 기술력과 노하우가 있기 때문에 회사의 투자 가치는 아직도 매력적인 회사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손익이 향후 2년 안에 마이너스를 벗어나 회복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언제 회복될지는 모르며 현재의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기체 결함 문제를 어떻게 이겨낼지 아직은 불확실성이 많은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