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공부

투자전에 꼭 확인할 미국 경제지표, 24년 3월

머니로거 2024. 3. 13. 23:05
반응형


달러중심의 세상

투자할 때 미국 경제지표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

미국 주식을 투자하거나 미국 사업 진출을 고려하지 않아도 미국 경제지표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는 현재의 세상이 달러 중심의 세상이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금리를 말할 수 있는데 한국 중앙은행 한국은행은 마음대로 금리를 오르내리는 것이 아니라 결국 미국의 경제상황에 대한 금리 정책에 따라 결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정리하자면 한국이 아무리 금리를 내리고 싶어도 미국이 내리지 않는데 혼자 금리를 내리는 상황은 100% 오지 않는다고 할 수 없지만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입니다.


24년 3월 미국 주요 경제지표

실업률(Unemployment Rate), 3.9, Mar 8

24년 3월 8일에 발표된 미국 실업률은 3.9 포인트입니다. 지난달 2월에 확인한 3.7포인트 보다 0.2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실업률이 증가하는 사항은 노동시장의 불안을 의미하며 이는 곧 경제침체로 진입을 뜻하게 됩니다.
24년 3월 소폭 증가하긴 했지만 해당 지표가 일부 오르내리는 사항은 경제 상황에 따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상황이기 때문에 아직은 전반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업률 지표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을 만드는지 확인 필요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Total United States: 3.2, All Urban Consumer: +3.1

소비자 물가지수는 기본적으로 2% 일 때 건강한 상승기준으로 보고 있어 5%에서 3% 진입한 의미 있는 결과는 있었지만 아직 2010년 이후 높은 구간에 속해 당장 큰 리스크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연준의 정책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며 CPI가 더 내려가길 기다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ISM 제조업 지수( ISM Manufacturing Purchasing Manager's Index, PMI), 47.8

제조업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는 ISM 제조업 지수는 47.8포인트로 2월에 이어 2달 연속으로 50 미만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강한 물가상승과 고금리 환경에서 제조업은 24년에 크진 않지만 침체 구간에 머물고 있음을 보이고 있습니다.

ISM 비제조업지수( ISM  Non-Manufacturing Purchasing Manager's Index, PMI), 52.6

비제조업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는 ISM 비제조업지수는 52.5포인트를 기록하며 24년 3개월 연속 50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았기 때문에 고금리 환경에서도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GDP(Gross Domestic Product, GDP), 24년 2월: 27,938.831, 24년 3월: 27,944.627

GDP는 2월에 이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결론

실업률은 아직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아 경제에 미칠 영향은 적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높은 금리의 영향인지 3% 초반을 유지 중입니다. ISM 제조업 지수는 50 미만을 유지하며 침체구간을 유지하고 있지만 40 후반대로 추가적인 하락이 아닌 이상 아직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ISM 비제조업 지수는 여전히 50 이상을 유지하며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GDP 또한 2월에 이어 상승하면서 높은 금리에도 경제에 큰 무리를 주고 있다고 판단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3월 또한 금리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