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P

[IRP ETF 추천] 국내 바이오 관련주, 헬스케어 관련주 한번에 투자하는 법(국내 헬스케어 바이오 ETF 알아보기)

머니로거 2024. 1. 21. 14:29
반응형

 

*본 글은 개인이 경험한 주관적인 내용으로 투자에 대한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글은 별도 대가 없이 정보 전달을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바이오? 헬스케어?

연구와 기술증진 혹은 사회 의료 서비스 증진

 
투자에 앞서 바이오(Bio), 와 헬스케어(Healthcare)의 각 의미를 알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섹터에 투자하긴 하지만 비슷하지만 조금은 다른 두 분야를 비교해 보고 개인의 판단에 따라 하나의 섹터만 선택할 수 있는 지표가 되기 때문이다.
바이오(Bio), 와 헬스케어(Healthcare)는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종종 혼동될 수 있는 용어이다.
용어의 차이점을 각자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바이오(Bio)

  • 의미: 바이오는 생물학적인 측면을 다루는 과학 및 기술 분야를 의미한다.
  • 범위: 바이오는 생물학, 생명과학, 유전공학, 바이오테크놀로지 등이 있다.
  • 목표: 생명체의 구조, 기능, 유전자, 세포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치료법, 의약품, 생물학적 제품 등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2. 헬스케어(Healthcare)

  • 의미: 헬스케어는 개인 또는 집단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한 모든 활동과 서비스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범위: 의료 서비스, 예방 조치, 건강 캠페인, 병원 관리, 환자 관리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한다.
  • 목표: 개인이나 사회의 건강을 향상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를 위해 의료 서비스뿐만 아니라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예방책, 정기적인 건강 관리 등이 중요시된다.


요약하면,
헬스케어는 건강과 관련된 종합적인 사회 서비스와 보급 활동을 나타내고 있다.
바이오는 생명과학과 생물학에 기반한 연구 및 기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헬스케어는 주로 건강 관리와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며,
바이오는 주로 과학적 연구와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한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를 연구해 신약을 개발하는 행위는 바이오(BIO)에 해당하고
새로운 의료기기를 개발해 사회 전반적인 의료 시스템을 개선한 것은 헬스케어(Healthcare)에 해당한다.


국내 바이오 ETF, 헬스케어 ETF

 KODEX 바이오, KODEX 헬스케어

 
그럼 국내 바이오산업과 헬스케어 산업을 ETF로 한 번에 투자 가능한 종목을 알아보면
많은 상품들이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KODEX 바이오 ETF와 KODEX 헬스케어 ETF가 있다.

1. KODEX 바이오 ETF(244580)

시가총액: 1,105억 원
기초지수: FnGuide 바이오 지수
운용보수: 0.45%
분배금 기준일: 1, 4, 7, 10월의 마지막 영엽일
자산운용사: 삼성자산운용(주)
상장일: 2016-05-13

 
KODEX 바이오 EETF 상위 10 종목

  1. 지노믹트리(2.62%)
  2. 파로스아이바이오(2.4%)
  3. 셀트리온제약(2.24%)
  4. HLB(2.23%)
  5. JW중외제약(2.22%)
  6. 인벤티지랩(2.19%)
  7. 아이센스(2.17%)
  8. 파마리서치(2.15%
  9. 신테카바이오(2.14%)
  10. 알테오젠(2.14%)

출처) 네이버증권, 24년 1월 21일 기준으로 조회 일자에 따라 ETF 구성 비중은 다를 수 있음


1. KODEX 헬스케어 ETF(266420)

시가총액: 897억 원
기초지수: KRX 헬스케어
운용보수: 0.09%
분배금 기준일: 1, 4, 7, 10월의 마지막 영엽일
자산운용사: 삼성자산운용(주)
상장일: 2017-03-28

 
KODEX 헬스케어 ETF 상위 10 종목

  1. 셀트리온(19.60%)
  2. 삼성바이오로직스(15.02%)
  3. HLB(6.6%)
  4. 유한양행(4.47%)
  5. 알테오젠(3.79%)
  6. SK바이오팜(3.09%)
  7. 한미약품(3%)
  8. 셀트리온제약(2.31%)
  9. 루닛(2.19%)
  10. SK바이오사이언스(1.69%)

출처) 네이버증권, 24년 1월 21일 기준으로 조회 일자에 따라 ETF 구성 비중은 다를 수 있음
 
국내 바이오(Bio), 와 헬스케어(Healthcare)는 보기에 전부 제약회사 같지만
상세하게 비교해 보면 사회 보급에 목표를 두고 있느냐 신약개발에 목표를 두고 있느냐에 따라
조금씩 종목과 비중이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

변동성 강한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를 ETF로 한 번에

 
국내 바이오(Bio), 와 헬스케어(Healthcare)는 도박이라고 부를 만큼 오르내림이 심하다.
개별 주식에 투자해서 대박이 날 수도 있지만 해당 산업분야 관련 주식은
상장폐지되는 경우도 있을 만큼 종목분석이 잘못되면 리스크가 크다.
 
하지만 바이오(Bio), 와 헬스케어(Healthcare)는 인류가 살아가는 만큼
꼭 필요한 분야로 지속적으로 투자되고 성장될 산업이다.
따라서 변동성 강한 개별주식보다 보다 안정적인 ETF 투자 시
산업 전체가 상장폐지될 위험은 적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이다.

 

마지막으로 바이오(Bio)와 헬스케어(Healthcare) 분야에 투자하는 이유 6가지에 대해 말해보면 아래와 같다.

 

  1. 성장 가능성: 바이오(Bio) 와 헬스케어(Healthcare) 분야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 중 하나로 혁신적인 의약품, 치료법, 의료기기 및 기술 등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인구 증가, 노화된 인구, 질병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바이오 헬스케어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혁신과 연구개발(R&D): 바이오 헬스케어 기업은 새로운 의약품, 치료법, 진단 기술 등을 개발하는 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혁신적인 연구 및 개발은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여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주주에게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3. 고부가가치 산업: 바이오 헬스케어 제품과 서비스는 종종 고부가가치를 가지며, 수요에 대한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제품이 많다. 특히, 첨단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는 기술적으로 복잡하며, 경쟁사의 진입 장벽이 높아 독자적인 수익구조를 만들곤 한다.
  4. 의료 기술의 발전: 바이오 헬스케어 기술의 발전은 진단, 치료, 예방 영역에서 큰 진전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환자 치료 방법을 개선하고 질병의 조기 발견을 도울 수 있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이다.
  5. 규제 및 인증: 바이오 헬스케어 기업은 강력한 규제와 안전성 인증을 통해 제품의 품질을 유지해야 한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은 투자 대상으로 여겨지게 만든다.
  6. 고령화: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고령화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노화 관련 질병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바이오 헬스케어 기업은 이러한 도전에 대응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에 큰 기회를 가지고 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