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시장의 기둥 삼성전자 위기, 탈출이냐? 기회냐?(삼성전자 주가 및 주요지표 살펴보기)

글을 시작하며
삼성전자가 위기에 빠졌습니다. 주가는 1년 중 최고점인 88,800원에서 현재는 어제 종가기준 59,500원으로 고점대비 약 33% 하락한 것인데요 만약 최고점에 10만 전자를 노리고 투자를 진입했다면 현재 수익률은 마이너스 30% 이상을 기록중일 것입니다. 분명 분기별 24년 매출도 꾸준히 상승 중이었고 회사의 지표도 나쁘지 않았지만 3분기 실적발표 이후 근래에 보기 드문 하락을 기록 중입니다. 가장 큰 요인은 그렇지 않아도 HBM 시장을 경쟁사인 하이닉스에 모두 빼앗긴 상황에 시장의 컨센서스였던 매출 80조와 영업이익 10조의 기대치보다 1조 모자란 79조와 9조를 기록하면서 시장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역대급 하락을 기록한 삼성전자의 주가 및 주요 지표를 살펴보면서 향후 투자 기회로 삼아볼 여지가 있을지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자본주의 세상에서 다양한 투자와 재테크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하는 블로그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입니다. 다양한 투자 정보와 현황에 대해 공유하고 있습니다. 글 내용에 관심이 있다면 블로그 구독 부탁드립니다.
본 글은 종목추천 및 투자권유글이 아닙니다. 개인의 주관적인 생각과 경험을 작성한 글로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잃어버린 경쟁력?
HBM 시장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을까?
사실상 HBM3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주도권을 확실하게 놓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주력인 D램 반도체 업황 둔화까지 겹치면서 시장의 거센 외국인들의 매도세는 현재의 큰 매출 변화보다 현재 놓친 주도권으로 인해 미칠 장기적인 악영향을 점쳐진 것일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현재의 주가회복에 중요한 요인은 26년 HBM4 시장의 지분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차세대 반도차 관련 경쟁력 우위를 유지하느냐입니다.
삼성전자 주가 및 지표
RSI / 일: 36.5, 주: 17.83, 월: 44.99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를 RSI지표를 통해 살펴보면 일봉상 36.5, 주봉상 17.83, 월봉상 44.99를 기록 중입니다. 일봉과 주봉에서 30 미만을 기록하고 근접하며 어느 정도 과매도 구간에 진입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월봉상 44로 아직 30을 기준으로 과매수 구간을 볼 때 추가 하락의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는 위치입니다.
주가를 제외한 매출과 영업이익을 비교해 보면 영업이익은 지난 분기 대비 조금 감소해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목표 매출은 달성하지 못했지만 지난 분기 대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주요 지표상 큰 변곡점은 없으나 HBM3의 주도권을 놓친 영향이 향후 매출과 주요 지표에 어떤 영향을 만들어 갈지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위기에서 생각해 볼 요소들
위기를 기회로
삼성전자의 현시점에 대해 경쟁력을 잃고 밀렸다고 판단하기에 아직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들을 몇 가지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삼성전자의 기술력과 자본력
삼성전자는 오랜 기간 반도체 업계에서 쌓아온 강력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이닉스가 현재 HBM 시장에서 앞서 있다고 하지만, 삼성의 연구 개발 능력과 대규모 자본 투자 능력을 감안하면 빠르게 기술적 격차를 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HBM과 같은 고성능 메모리 외에도 다양한 반도체 기술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이를 통합한 신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강점을 보일 수 있습니다.
2.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지속적 성장
HBM은 AI, 머신러닝,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 센터 등 고성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HBM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여전히 크며, 이러한 성장에 대응하기 위한 삼성전자의 전략적 움직임이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메모리 시장에서 여전히 강자로 자리 잡고 있는 삼성전자는 HBM뿐만 아니라 NAND, DRAM 등의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시장 다각화 및 파트너십
삼성전자는 단순히 HBM 기술 자체에만 의존하지 않고, AI, 자율주행, 클라우드, 5G 등 다양한 신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시장을 다각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와 협력을 통해 기술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AI와 반도체 기술의 융합이 점점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삼성전자의 다각적 접근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4. 위기를 기회로: 시장 재편 가능성
현재 하이닉스가 앞서고 있지만, 반도체 시장은 기술적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산업입니다. 삼성전자는 위기를 기회로 삼아 새로운 HBM 기술을 개발하거나 차세대 메모리 기술로 시장을 재편할 가능성이 큽니다. 시장에서의 일시적인 점유율 하락은 삼성전자의 큰 그림에서 볼 때 오히려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자극제가 될 수 있습니다.
5. 삼성의 안정적인 재무 구조
삼성전자는 탄탄한 재무 구조를 바탕으로 대규모 R&D 투자를 지속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반도체는 고도로 자본 집약적인 산업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무 상태는 장기적인 기술 개발과 시장 점유율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재정적 안정성은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주며, 미래에 대한 투자 기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HBM 시장에서 하이닉스의 우위는 삼성전자에게 분명한 도전이지만, 삼성의 기술력, 자본력, 다각화된 사업 모델, 그리고 시장 재편 가능성을 고려할 때, 이는 오히려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HBM뿐만 아니라 반도체 전반에 걸친 삼성전자의 지속적인 혁신과 성장은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투자처로 평가될 수 있을 것입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