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공부, 미국 대표 11개 산업 분류와 섹터별(업종별)ETF, 대표회사 알아보기(미국주식 투자할때 11개 산업 분류를 알면 좋은점)
안녕하세요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다양한 투자와 재테크 수단을 탐구하는 블로그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입니다.
오늘은 미국주식 투자 시 참고할만한
미국 11개 대표산업 분류와
대표 산업별 ETF 종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리뷰해 볼까 합니다.
본 글은 개인적인 생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로
매수추천, 투자 권유 글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미국 산업별 섹터 분류와 대표 ETF를 알면 좋은 이유
경제 및 시장상황 고려
경제 흐름에 따라 특정 현상이 반복해 발생하는 것을 경제 주기(Economic Cycle)이라고 합니다. 각 산업 섹터는 특정 경제 주기에서 다른 강세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경기 확장 시기에는 기술주와 소비재가 강세를 보이고 경기 침체기에는 유틸리티와 필수소비재가 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중앙은행에서 금리를 인상하는 시기이냐 인하하는 시기이냐에 따른 섹터별 강세도 다르며 마지막으로 정부가 규제 및 완화 정책을 발표하거나 변화할 때 특정 섹터에 미치는 영향을 주기적으로 섹터별 ETF를 살펴보면서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경제 및 시장 상황에 맞는 섹터별 움직임의 특징을 알게 된다면 경기 흐름에 따라 유리한 섹터로 리벨런싱 하면서 투자에 더 유리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산업별 과매수 과매도 구간 확인
산업별 대표 ETF의 비교를 통해 주식 시장에서 섹터별 과매수, 과매도 구간에 진입한 시장의 투자 흐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익절, 손절 라인을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투자 중인 하나의 섹터가 과매도 구간이고 다른 하나의 섹터가 과매수 구간이라면 과매수 구간의 비중을 줄여 과매도 상태에 들어간 산업의 투자 비중을 늘리는 등의 리벨런싱의 지표로 삼거나 눈여겨보았던 산업의 저점 매수를 노려 현금 투입 시점의 지표로 삼을 수 있습니다.
산업별 대장 종목 확인
유망한 산업은 아는데 해당 산업에서 1위 자리를 차지하며 섹터를 주도하는 주도주를 알고 싶다면 각 산업 ETF별 TOP 10위 구성종목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또한 ETF의 순위 변동에 따라 산업 내에서 성장하는 기업 후퇴하는 기업 또한 참고 가능해 사용 목적에 따라 활용 가능합니다.
미국 11개 산업 분류와 산업별 ETF
미국 11개 산업 섹터 파악하기
미국 S&P500과 같이 대표지수에 포함된 미국회사들은 크게 아래와 같이 11개 섹터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Technology(기술): 기술 혁신과 성장성이 높은 기업들이 포함됩니다. / 대표 ETF: XLK / 대표회사(TOP3):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애플
- Healthcare(헬스케어):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서비스 회사들이 해당 산업에 포함됩니다. / 대표 ETF: XLV / 대표회사(TOP3): 일라이릴리,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그룹, 존슨 앤 존슨
- Financials(금융): 은행, 보험, 자산관리 및 기타 금융 서비스 기업들이 해당 ETF에 포함됩니다. / 대표 ETF: XLF / 대표회사(TOP3): 버크셔해서웨이, JP모건, 비자
- Consumer Discretionary(소비자 재량): 호텔, 자동차, 미디어 등과 같이 살아가는데 필수로 필요한 사항은 아니나 소비되는 소비재를 생산 및 제공하는 회사들이 포함됩니다. / 대표 ETF: XLY / 대표회사(TOP3): 아마존, 테슬라, 홈디포
- Consumer Staple(필수 소비재): 살아가는데 필수로 필요한 생활용품, 식품등을 생산 및 유통하는 회사들이 해당 ETF에 포함됩니다. / 대표 ETF: XLP / 대표회사(TOP3): 프록터 앤 갬블, 코스트코, 월마트
- Energy(에너지): 석유, 가스 및 기타 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해당 ETF에 포함됩니다. / 대표 ETF: XLE / 대표회사(TOP3): 엑슨모빌, 쉐브론, EOG 리소시스
- Utilities(유틸리티): 전력, 가스 및 수도 서비스와 같이 지역이 굴러가는 기본 인프라 관련 회사들이 해당 ETF에 해당합니다. / 대표 ETF: XLU / 대표회사(TOP3): 넥스트에라에너지, 서던, 듀크에너지
- Industrials(산업): 제조, 운송, 방위 및 건설 기업들이 포함된 ETF입니다. / 대표 ETF: XLI / 대표회사(TOP3): 제너럴 일렉트릭, 캐터필러, 우버
- Materials(소재): 화학, 금속 및 광업 등과 같이 소재 관련 기업들이 포함됩니다. / 대표 ETF: XLB / 대표회사(TOP 3): 린데, 프리포트, 셔윈윌리엄스
- Real Estate(부동산): 상업 및 주거용 부동산에 투자 및 신탁 관련 기업들로 구성된 ETF입니다. / 대표 ETF: XLRE / 대표회사(TOP3): 프로로지스, 아메리칸 타워, 이퀴닉스
- Communication Services(통신 설비): 통신 및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포함된 ETF입니다. / 대표 ETF: XLC / 대표회사(TOP3): 메타, 알파벳, AT&T
글을 마무리하며
투자 기회를 찾기 위한 리서치
미국 산업별 ETF 11종을 국내 산업과 같이 주기적으로 과매도 과매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경기 흐름에 따른 투자 기회 포착 능력과 시장 투자 타이밍을 잡는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됩니다. 섹터별 과매도, 과매수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 IRP 계좌의 국내 산업 ETF처럼 주기적으로 RSI 지표를 추적하며 관리해 볼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좋은 배당주를 저렴한 가격에 찾아 투자해 보는 시도를 계속해볼 계획입니다.
Copyright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